Jenkins란?
젠킨스는 자바로 작성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지속적인 통합(CI:Continuous Integration)와 지속적인 배포(CD:Continuous Delivery)를 제공한다.
다수의 개발자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버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자 작업한 내용을 공유 영역에 있는 저장소에 빈번히 업로드함으로써 지속적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.
Jenkins 설치
아래 명령어로 Jenkins 설치
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
rpm --import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io.key
yum install jenkins
Jenkins 기본 포트는 8080이기 때문에 포트를 변경해주자
vi /etc/sysconfig/jenkins
JENKINS_PORT="8080"을 찾아 9090으로 변경
CentOS 버젼에 따라 아래 1) , 2) 방법으로 방화벽을 오픈해주자
1) CentOS 7 이상이면 firewall을 이용하여 방화벽 오픈
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9090/tcp
firewall-cmd --reload
2) CentOS 7보다 낮으면 iptables을 수정하여 방화벽 오픈
vi /etc/sysconfig/iptables
- 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9090 -j ACCEPT 추가
iptables 재시작
service iptables restart
Jenkins 설정
service jenkins start
웹 브라우저를 켠 후 아래 URL로 접속
localhost:9090
첫 페이지에서 Administrator password를 입력해야된다.
vi /var/lib/jenkins/secrets/initialAdminPassword
해당 경로로 들어가면 초기 Administrator password가 있다. 복사 후 붙여넣기를 해주자
Install suggested plugins 클릭하여 플러그인 설치
다음으로는 관리자 계정 생성 부분이다 입력 후 Save and Continue 클릭
설정을 완료하면 Jenkins 메인 화면이 나온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CentOS 6 Jenkins로 SVN + Spring Maven 프로젝트 자동 빌드 배포 셋팅 (3) | 2018.11.18 |
---|---|
[Linux] CentOS 6 MySQL 5.6 설치 (1) | 2018.10.20 |
[linux] jdk 1.8 설치 (1) | 2018.10.06 |
[Linux] Window <-> VirtualBox 클립보드 공유 (6) | 2018.10.02 |
[Linux] Apache 서브 도메인 설정 (1) | 2018.09.29 |
Comment